25.5.30. 미국시장 이슈 요약 (관세, 매크로, 연준 위원 발언 등)
🔹 1. 관세 이슈 요약: 트럼프 관세의 부활과 불확실성
- 📌 CIT 판결: 트럼프 관세 위법 → 증시 상승
- 📌 항소법원 결정: 판결 효력 정지 → 관세 복원 → 상승분 반납
- 📌 불확실성 확대: 트럼프의 대응 전략에 대한 시장 경계감 증대
🔸 [트럼프의 대안]
- ⚖️ 122조: 조사 없이 150일 관세 → 이후 의회 승인 필요
- ⚖️ 301조: 불공정 무역 관행 → 수개월 조사 소요
- ⚖️ 232조: 국가 안보 근거 관세 → 상무부 조사 필요
- ⚖️ 338조: 차별 행위 증명 필요, 전례 없음
🔸 [향후 주목할 쟁점]
- ❓ 항소심 판결은 트럼프 손을 들어줄까?
- ❓ 트럼프는 122조를 사용할까?
- ❓ 301·232조 등 조사 기반 수단을 사용할까?
- ❓ 338조 발동 시 법원이 제동을 걸까?
- ❓ 전체 관세 수준은 이전보다 낮아질까?
- ❓ 의회의 관세 입법이 빨라질까?
- ❓ 타국 협상 스탠스가 바뀔까?
- ❓ 법원의 견제를 시장이 긍정적으로 해석할까?
🔹 2. 매크로 리뷰
🔸 [주택 지표: 하락세 지속]
- 📉 4월 잠정주택판매지수(PHSI) 하락, 컨센 하회
- 🏠 NAHB 하락, MBA 구매지수 소폭 반등, 모기지 금리 여전히 높음
- 🗣️ NAR: “구매자 유입엔 낮은 금리가 필수”
🔸 [실업수당: 약한 노동시장 신호]
- 📈 신규·연속 실업수당 신청 모두 증가
- ⚠️ 연속 신청자 수 증가 → 고용 둔화 조짐
- 💡 연준: 노동시장 강세로 보기 어려운 이유
🔹 3. 연준 위원 발언 요약
🧑⚖️ 인물 | 💬 요점 |
---|---|
🗣️ 데일리 | 인플레에 집중, 실업 약화 신호는 아직 없음. 올해 2회 금리인하 가능 시사 |
🗣️ 로건 | 인플레·고용 리스크 균형. 확장 재정정책의 수요 자극 가능성 언급 |
🗣️ 굴스비 | 법원 판결로 불확실성 확대. “스태그플레이션적이지만, 스태그플레이션 아님” |
🗣️ 쿠글러 | 미국 자산의 안전자산 역할 변화 가능성 언급 |
🔹 4. 구조적 이슈: 자본유입세와 미국 자산 체질 변화
- 💰 자본유입세(Section 899): 외국 보유 자산에 과세 → BBB 법안에 포함
- 🌐 목적: 불공정 과세 대응 → 실질적 자본 흐름 과세
- 🏦 해외 연기금: 해외 투자 줄이고 자국 투자 확대
- 📊 도이치방크: Section 899 통과 가능성, 중장기 수급 구조 변화 시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