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증시 및 거시경제 지표 요약 (2025.6.2 기준)
📅 1. 최근 증시 흐름 정리 (5월 31일 금요일 기준)
- 5월 31일(금):
▸ 4월 PCE 지표 발표 → 소비 증가세 완만 & 물가 상승률 둔화
▸ 그러나 트럼프, “중국은 합의를 위반했다”는 강경 발언 → 미 증시 하락 출발
▸ 美 상무부, 중국 기술기업 제재 확대 발표 → 낙폭 확대
▸ 이후 트럼프가 “시진핑과의 대화 의지” 언급 → 증시 반등, 결과적으로 약보합 마감
💡 시사점:
▸ 트럼프 발언 → 단기 리스크 요인이나,
▸ 시장은 여전히 “TACO (Tariff–Announcement–Concession–Offset)” 학습효과 기대
▸ 발언만으로도 증시에 반등 모멘텀 제공 = 협상력 과시용 발언에 증시는 익숙해졌다는 신호
📊 2. 핵심 경제지표 요약 (4~5월 지표 기준)
📌 소비 (4월)
- 실질 소비 증가율 +0.1% (서비스↑ / 내구재↓)
- 내구재: 자동차·가전·레저 관련 소비 부진
- 서비스: 여행, 외식 등은 회복세 유지
💡 투자자 시사점
▸ 내구재 관련 기업: 실적 주의
▸ 서비스 중심 산업(항공, 관광 등): 경기 방어형 섹터로 유효
📌 소득 (4월)
- 가처분소득 +0.76% 증가 (2개월 연속 견조)
- 원인: 이전소득(정부 지출) + 근로소득 증가
- 고용은 유지되나, 장기 실업은 여전히 존재
💡 투자자 시사점
▸ 정부 재정지출이 소비 버팀목 → 재정 축소 가능성은 중기 리스크
▸ 고용 유지 = 소비 지속 기대감은 유효
📌 소비자 심리 (5월)
- 미시간 CSI & 컨퍼런스보드 CCI 개선
- 배경: 일부 대중국 관세 유예 소식 → 심리 반등
💡 투자자 시사점
▸ 소비심리는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
▸ 관세 재강화 시 소비 위축 가능성 → 정책 톤 확인이 중요
📌 물가 (4월 PCE 기준)
- PCE 물가 상승률 +0.1%(헤드라인 & 코어 모두)
- 내구재 인플레(관세 영향) vs 에너지·식료품 디플레로 상쇄 효과
- 서비스 물가는 2개월 연속 둔화
💡 투자자 시사점
▸ 인플레 압력 제한적 → 연준 금리 인하 기대 유지
📌 기대 인플레이션 (5월)
- 단기 기대: 소폭 상승 (+0.1%p)
- 장기 기대: 하락 전환 (-0.2%p) (4개월 만에 하락)
- 시장기반 BEI: 안정적 범위 유지
💡 투자자 시사점
▸ 기대 인플레 둔화 = 연준 긴장 완화
🔍 3. 향후 주요 변수 & 주시 포인트
주요 변수 | 투자자 시사점 |
---|---|
TACO 기대감 지속 여부 | 실제 협상 진전 없더라도 “강경 발언 → 완화 발언” 패턴 반복 시 시장 방어 기대감 유지 |
7월 초 관세 유예 종료 전 협상국 대응 | 중국, EU, 캐나다, 일본의 반응 주목 → 무역 섹터 민감 종목 조정 필요 |
기업 전략 변화 | 관세 부담 → 고용 및 투자 축소 가능성 → 민감 업종(IT, 車 등) 주의 |
생산시설 이전 트렌드 | 제조업 설비투자 증가(리쇼어링) → 건설, 인프라, 산업재 섹터 긍정적 |
이번주 지표 발표 예정 | ISM 제조·서비스 PMI, 고용지표 발표 → 경기선행 판단 기준 |
🧭 투자 전략 요약
항목 | 전략 |
---|---|
시장 대응 | 단기 발언에 의한 하락은 오버리액션 가능성 → 분할 대응/저가 매수 고려 |
섹터 전략 | 서비스소비 관련주, 리쇼어링 관련 인프라/산업재 선호 |
피해야 할 리스크 | 내구재 중심 소비재, 관세 민감 업종(자동차, 일부 반도체 등) |